LINUX15 [ubuntu] mysql 터미널 창 깔끔하게 지우는 방법 지저분한 mysql창 어떻게 지우는 지 궁금하셨죠? clear를 아무리 해도 안지워지는 것을 볼 수 있어요. clear 앞에 system만 붙여주세요. 엄청 깔끔해졌죠? 오늘도 열공하셔서 꼭 목표이루시길 바래요!~ 2023. 10. 29. [ubuntu] 재부팅 후에도 단축키 적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IT 기술블로그 Woonglab입니다. 오늘은 단축키 후를 재부팅 후에도 적용되게 해서 쉽고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nano ~/.bashrc 를 터미널 창에 입력해 주세요. 저는 nano 편집기를 이용하는데 vim, vi가 편하신 분들은 그렇게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키셔서 밑으로 내리다 보면 단축키 쓰는 칸이 보일 거예요. 저는 clear라는 것이 매번 쓰기 불편해서 c로 바꿔주었어요. 그리고 ctrl + x + y를 누르고 꺼주세요. vi편집기의 경우 Esc+:wq에요. 이제 설정이 되었는데요. 다 설정되고 나면 init 6 혹은 reboot를 눌러서 재부팅해주세요. 다 설정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c만 눌러도 터미널 창이 깔끔해지는 것을 볼 수 있어요. 2023. 10. 29. Ubuntu에서 ansible Playbook 실습[주소추가] 본 실습은 우분투 환경에서 Playbook을 활용하는 실습을 진행하겠다. Playbook은 아래의 내용과 같이 자동화 업무의 청사진 같은 것이다. 즉 Ansible Playbook은 자동화 도구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시스템 구성, 배포, 자동화 작업 또는 관리 작업을 정의하고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Playbook은 yaml이라는 형식을 사용하는데 Yaml Ain't Markup Language의 형식이다. Yaml은 사람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경량 마크업 언어이다. Yaml을 통해 데이터를 계층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더 자세한 건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 바란다. https://velog.io/@deannn/Yaml-%EC%9D%B4%EB%9E%80 Yaml 이란 Xml, Json과 Y.. 2023. 10. 18. [Linux] Hard Link와 Symbolic Link의 차이점 Hard Link vs Symbolic Link Hard Link는 In 명령어를 사용하고, Symbolic Link는 In -s 명령어를 사용한다. 여기서 ln은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링크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로 'ln [옵션] 원본 대상파일 형식을 가리킨다. 옵션이 없으면 Hard Link이고 옵션이 있으면 Symbolic Link라는 의미이다. Hard Link는 동일한 i-node를 갖는 반면, Symbolic Link는 i-node가 다르다. Symbolic Link는 새로운 i-node값이 할당되어 원본파일의 i-node를 가리킨다. Hard Link는 i-node로 바로 데이터에 접근가능한 반면, Symbolic Link는 원본 i-node를 경유한다. 따라서 Hard Link는 원본 파일.. 2023. 9.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