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Kubenetes11 [kubenetes] hostpath 실습 오늘은 hostpath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먼저 yml파일을 작성하여 주어야 되는데 간략하게 설명하여 보겠다. 먼저 pod의 이름은 test-pd로 하겠고, 마운트를 했을 때 masternode의 /hostpath경로에서 무언가를 만들었을때 pod에 위치한 work노드에서 /tmp/hostpath에 생성되어 영구적인 저장소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aster /hospath 경로 생성 -> work /hostpath에 저장 yml파일을 사용하여 resource definitions을 kubenetes의 cluster에 적용시켜 주겠다. 더보기 kubectl apply -f hostpath.yml 이후 get 명령어로 확인해 보자. 더보기 kubectl get pod -o wid.. 2023. 11. 2. [Kubenetes] k8s nodeport nodeport: node자체 포트를 개방하고 이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pod로 리다이렉션 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loadbalancer를 앞에 두고 nodeport를 구현한다. nodeport와 loadbalaner와 ingress의 차이점 nodeport는 노드의 자체 포트를 사용해서 pod로 redirection loadbalancer: 외부 게이트 웨이를 사용해서 노드포트로 redirection ingress: 외부에 별도의 리소스를 만들어주고, 이 리소스에 요청이 오면, 하나의 ip로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도메인 네임) loadbalancer는 L4개념, ingress는 L7 개념이다. L2 스위치 (Layer 2 스위치):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이더넷 스위치로도 .. 2023. 11. 1. [Kubenetes] Loadbalancer - Cluster IP, NodePort 오늘은 클러스터 IP와 NodePort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에 대한 실습을 진행해 보겠다. 클러스터 IP와 NodePort는 Kubernetes(k8s)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유형 중 하나이다. 1. 클러스터 IP(Cluster IP): 클러스터 IP는 Kubernetes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간의 내부 통신에 사용되는 서비스 유형이다. 이 서비스 유형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고, 다른 서비스 또는 파드와 통신할 때 사용된다. 클러스터 I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부 통신용: 클러스터 IP는 클러스터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즉, 클러스터 외부에서는 이 IP에 직접 액세스 할 수 없다는 말이다. 내부 자원 공유: - default: 클러스터 IP 서비스는 클러스터 내에서.. 2023. 11. 1. [kubenetes] etcd https://github.com/etcd-io/etcd/releases Releases · etcd-io/etcd Distributed reliable key-value store for the most critical data of a distributed system - etcd-io/etcd github.com root@master:~# wget https://github.com/etcd-io/etcd/releases/download/v3.5.10/etcd-v3.5.10-linux-amd64.tar.gz root@master:~# cd etcd-v3.5.10-linux-amd64/ root@master:~/etcd-v3.5.10-linux-amd64# ETCDCTL_API=3 ./etcdctl \.. 2023. 10.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