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AWS

Architecting on AWS - 실습 1: AWS 관리 콘솔 및 AWS CLI 살펴보기 및 사용 with Builderlabs

by tankwoong 2023. 11. 26.
반응형

오늘은 기본 환경설정을 알아보고, aws 관리 콘솔과 cli로 버킷 만들기 실습을 진행하겠다.

기본 환경설정 

먼저 설정(톱니바퀴 모양)의 칸을 눌러서  More user settings에 들어가 준다.

 

들어가서 Localization에 자신이 설정하고 싶은 Language를 선택한 후 Save Settings를 눌러준다.

 

위젯도 추가할 수 있는데 오른쪽에 있는 것을 Drag&Drop 할 수도 있고, 왼쪽에 있는 것을  Drag&Drop 할 수도 있다

aws 콘솔로 s3버킷 만들기

이번엔 s3를 만들어보자

s3를 검색한 후 버킷 만들기를 눌러준다.

 

General configuration에서 labbucket-숫자 형식으로 버킷이름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원하는 리전을 선택해 준 후 버킷을 만들어준다.

성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엔 업로드를 진행해보겠다.Add file를 눌러 원하는 이미지를 불러오면 아래와 같이 업로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엔 cli명령어로 버킷을 만들어보자

이번엔 ec2로 가보자.

 

인스턴스 연결 후 Session Manager로 연결한다.

 

그럼 터미널 창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 s3 ls로 현재있는 s3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다.

 

aws s3 mb명령어로 bucket도 직접 만들 수 있다.

 

aws s3 ls를 통해 잘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 s3 명령어로 jpg파일을 현재 만든 버킷에 복사할 수 있다.

 

aws s3 ls로 버킷 안에 jpg파일이 잘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