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두 가지 인터넷 접속방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IPOE(Internet Protocol over Ethernet)
LAN(Local Area NetWork)에서 사용되는 표준 통신프로토콜인 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접속방식이에요. IPOE의 3가지 과정을 통해 동작하는데요.
1 단계 : 컴퓨터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가 이더넷 케이블로 인터넷 회선에 연결
2 단계: ISP는 이더넷 프레임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정보(IP 주소, 게이트웨이 등)를 전달
3 단계: 네트워크 기기는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받고, 인터넷에 접속
IPOE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첫 번째 단순한 접속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인증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가 접속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요.
두 번째는 안정성이에요. 인터넷 회선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 패킷 손실이나 연결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적어요.
세 번째는 빠른 속도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요.
하지만 단점도 있겠죠?
첫 번째 보안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인증절차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 있어요.
두 번째 모든 네트워크 기기에서 IPOE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세 번째는 추가적인 장비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ISP가 제공하는 비용이 더욱 높을 수 있어요.
장단점을 고려해서 사용해야곘죠?
PPPoE(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이것도 이더넷을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이고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 사용됩니다.
PPPoE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작동해요.
1단계: 사용자의 컴퓨터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가 이더넷 케이블로 인터넷 회선에 연결됩니다.
2단계: ISP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ID와 비밀번호를 제공합니다.
3단계 네트워크 기기는 PPPoE 클라이언트로서, ISP의 PPPoE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
4단계: ISP는 인증 정보를 검증한 후, 사용자에게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전달
5단계: 네트워크 기기는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할당받고, 인터넷에 접속
PPPoE의 장점을 알아볼까요?
첫 번째는 보안성이에요.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노출될 가능성이 낮아요.
두 번째는 호환성이에요. 대부분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PPPoE를 제공하기 때문에 호환성 문제가 적어요.
세 번째는 추가적인 장비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ISP에 제공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을 가능성이 있어요.
IPOE의 단점이 PPPoE의 장점이랑 비슷하죠?
PPPoE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첫 번째는 사용자 인증 절차 등으로 인해 인터넷 접속속도가 느릴 수 있어요.
두 번째는 인터넷 회선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져 패킷 손실이나 연결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세 번째는 사용자 인증 절차 등으로 인해서 일반사용자에게 어려울 수 있어요.
IPOE와 PPPoE는 서로 단점이 장점인 인터넷 서비스죠.
따라서 본인이 어떤 것을 더 중시하느냐에 따라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