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실습은 외부에서 우분투를 거쳐 cloud의 인스턴스 서버 2대에 접속할 수 있도록 실습을 진행하겠다. 먼저 public(우분투)와 cloud를 연결해 주기 위해 라우터를 설치하겠다.
설치하기 전에는 아무것도 연결이 안되있지만(왼쪽) 설정 후 public에 라우터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오른쪽)
먼저 본인이 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실행을 하면 인스턴스 설정을 할 수 있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본인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다 완성되면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고 오른쪽과 같은 그림이 나온다.
같은 방식으로 cloud2도 만들어 주겠다.
그럼 cloud 2개는 연결되고 public과 라우터는 연결되었지만 각각은 연결이 안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라우터를 클릭해서 아래와 같이 인터페이스를 추가해 준다. 그럼 이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 우분투와 같은 대역대로 public ip가 설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devstack을 설치 중 우분투의 ip 대역을 읽어오지 못해서 172.24.4의 대역대가 설정되었다. 다른 대역대임으로 윈도에서 클라우드로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윈도 cmd 관리자 설정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해 주어야 윈도에서 cloud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 ip설정을 하여 윈도우에서 cloud1과 cloud2로 통신할 수 있게 해 주겠다. 외부에서 통신할 수 있게 ip를 받아오겠다는 말이다.
아래를 보면 172.24.4 대역대로 인스턴스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ping으로 확인해보면 둘 다 통신이 잘 됨을 알 수 있다.
이제 윈도우에서 cloud서버를 열 수 있도록 dns 설정과 apache서버를 설치해 주겠다. 아래와 같이 콘솔 창을 클릭해 준다.
그리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준다. 해당 이미지에 대한 방식은 링크를 참조하길 바란다.
2023.09.05 - [Cloud] - [cloud] devstack octavia
[cloud] devstack octavia
project-> user-> image flavor 시스템 리소스 instance 컴퓨터 2023.09.01 - [Cloud] - [Cloud] Ubuntu devstack 설치하기 [Cloud] Ubuntu devstack 설치하기 기본파일 설치 apt-get update -y && apt-get dist-upgrade -y #기본 업데이트 apt-
woonglab.com
2023.09.01 - [Cloud] - [Cloud] Ubuntu devstack 설치하기
[Cloud] Ubuntu devstack 설치하기
기본파일 설치 apt-get update -y && apt-get dist-upgrade -y #기본 업데이트 apt-get -y install apache2 #apache 설치 apt-get -y install python3 python3-pip git #파이썬 설치 사용자 추가 및 git으로 openstack 코드 받아오기 root@u
woonglab.com
로그인해주고 nano /etc/netplan/50 tab을 누르고 아래와 같이 수정해 준다.
꼭 netplan apply를 해주자. 그래야 적용이 된다.
apt-get -y install apache2
apache를 설치해 준다. 그리고 윈도 창에 다음과 같이 ip를 입력하면 apache서버가 열린다.
그럼 윈도우 서버에서 cloud의 서버를 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