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IT BASIC/IT TERMINLOGY

싱귤래리티(Singularity와 딥러닝Deeplearning의 핵심개념|IT용어마스터05

by tankwoong 2023. 2. 20.
반응형

오늘은 싱귤래러티와 딥러닝을 알아볼거에요.

싱귤래리티Singularity

2005년 미국의 발명가인 레이 커즈와일이 만든 개념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기술적 특이점"을 의미해요.

이 기점이 되면 사람이 더 이상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없게 되요.

무섭죠?

2045년경에 싱귤래리티에 도달해 사회와 생활의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여기에서 알면 좋은 개념이 있는데 

바로 "수학 가속의 법칙"이에요. 

 

만약에 새로운 기술이나 능력이 등장했을 때 

그것을 사용하면 지수함수적으로 가속한다고 

하는 법칙이에요.

 

과거부터 쭉 조망해 보면 

점점 변화가 일어나는 간격이 짧아지죠?

 

그것을 의미해요.

 

개인에게도 적용해 본다면 

우리가 어떤 것을 배우면 

처음에는 오래 걸리지만 

어느 정도 익히고 나면 

가속도가 붙죠?

 

인공 지능에 대한 연구는 

1950년 경부터 시작되어 있는데 

연구가 잘되는 붐 시절과

연구가 안 되는 겨울의 시대를 반복하고 있었어요.

 

현대에는"제3차 인공지능 붐시대"라고

하고 있어요.

 

그렇다면 인간의 능력이 인간과 동등한 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튜링테스트라는 것을 하는데요?

이것은 인공지능의 능력이 

인간과 동등한지 확인하는 테스트예요.

 

만약 인공지능이 인간을 흉내 냈는데

인간이 눈치채지 못한다면

인간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겠죠?

 

생각만 해도 걱정이 되긴 하네요.

 

딥러닝Deeplearing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컴퓨터에 주입하는 지도학습법supervisedlearning이 

등장하게 돼요.

그것을 통해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수많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인공지능 시스템이 

스스로 학습하는 

이른바 머신러닝machinglearing 형태로

진화했어요.

머신러닝에서 인간의 뇌를 모방한 

신경망 네트워크를 더한 

딥러닝 알고리즘이 나오면서 

 

인간의 두뇌가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한 후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을 

모방함으로써 

 

기존의 머신러닝의 한계점을 

뛰어넘을 수 있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