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BASIC/IT TERMINLOGY

MaaS, SDGs, XaaS 개념 총정리|IT용어마스터12

by tankwoong 2023. 3. 2.
반응형

MaaS, SDGs, XaaS 개념 총정리 

MaaS

MaaS는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자로, 공유 경제와 IOT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나 전철, 택시, 비행기, 렌터카. 셰어 사이클과 같은 교통수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통수단을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서대중교통의 서비스와 개인 모빌리티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입니다.

 

즉 IT로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해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용자에게는 직장이나 관광지로 이동하는 경로를 알 수 있게 해주고, 그곳의 날씨와 관광정보 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여기서는 교통수단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의 개념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교통사업자에게는 교통수단을 관광 정보와 함꼐 제공하면 이용자가 늘 수 있고, 이용자의 이동 정보를 분석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이용자에게 알림을 보내는 쌍방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는 것과 같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여 관광지나 판매자에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SDGs XaaS

SDGs는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의 약자로 2015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17개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글로벌적인 노력으로,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중입니다. 

 

SDG XaaS의 XaaS는 Everything as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다양한 설루션을 의미합니다. 

예로써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건물, 스마트 도시를 제공하거나,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친환경 인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MaaS와 SDGs는 서로가 모빌리티와 it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떻게 각각의 잠재적 가치를 살려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력이 지속될 경우 어떤 향후 전망이 예상될 수 있는지 이러한 협업은 어떻게 지속되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입니다.

 

SDGs XaaS의 사례

 

베스트마일

 

이동수단들을 한 플랫폼에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서비스

대중 교통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 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누리코리아 

 

블록체인 기술을 활영하여, 식재료 유통 과정을 관리하는 서비스이고, 이것을 통해 식품 유통의 투명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농산물 생산자들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IBM Waston IOT Platform 

 

IoT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서 건물, 자동차, 제조업 등의 산업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자원 절약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인증 기술도 있습니다. 

 

에코마일리지 등의 서비스도 대표적 사례이고, 이를 통해 기업들은 이동 수단을 이용한 활동을 인증하고, 보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제 유튜브도 운영하니 많이 사랑해주세요,

https://www.youtube.com/@messenger90

 

메신저 정인웅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메신저 정인웅입니다. 저는 이 채널에서 주로 심리학, 자기계발, 책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에요. 다양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니 많이 놀러와 주시고 구독과 좋아요 꼭

www.youtub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