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8

Dart & Flutter개발-fastcampus 1강 Flutter Flutter는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 워크 Flutter는 쉽다. 선언형 UI구조의 채택으로 UI코드와 로직코드가 하나의 파일, 함수 내에서 한 번에 써 내려갈 수 있어서 초보자에게 적합하다. UI구조를 각각의 Widget단위로 개발하여 쉽게 다른 Widget들과 조합/배치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하기에 용이하다. -> easy 객체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인 함수형 프로그래밍 또한 지원 Web과 Desktop을 위한 큰 사이즈의 모니터까지 flexible한 레이아웃 별도의 UI 엔진을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방법으로 Application을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 SKiA+Impeller 엔진까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짐 오픈 소스임 심플하면서도 예쁜 디자인을 쉽.. 2023. 12. 1.
Architecting on AWS - 실습 1: AWS 관리 콘솔 및 AWS CLI 살펴보기 및 사용 with Builderlabs 오늘은 기본 환경설정을 알아보고, aws 관리 콘솔과 cli로 버킷 만들기 실습을 진행하겠다. 기본 환경설정 먼저 설정(톱니바퀴 모양)의 칸을 눌러서 More user settings에 들어가 준다. 들어가서 Localization에 자신이 설정하고 싶은 Language를 선택한 후 Save Settings를 눌러준다. 위젯도 추가할 수 있는데 오른쪽에 있는 것을 Drag&Drop 할 수도 있고, 왼쪽에 있는 것을 Drag&Drop 할 수도 있다 aws 콘솔로 s3버킷 만들기 이번엔 s3를 만들어보자 s3를 검색한 후 버킷 만들기를 눌러준다. General configuration에서 labbucket-숫자 형식으로 버킷이름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원하는 리전을 선택해 준 후 버킷을 만들어준다. 성공적으로.. 2023. 11. 26.
[kubenetes] hostpath 실습 오늘은 hostpath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먼저 yml파일을 작성하여 주어야 되는데 간략하게 설명하여 보겠다. 먼저 pod의 이름은 test-pd로 하겠고, 마운트를 했을 때 masternode의 /hostpath경로에서 무언가를 만들었을때 pod에 위치한 work노드에서 /tmp/hostpath에 생성되어 영구적인 저장소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aster /hospath 경로 생성 -> work /hostpath에 저장 yml파일을 사용하여 resource definitions을 kubenetes의 cluster에 적용시켜 주겠다. 더보기 kubectl apply -f hostpath.yml 이후 get 명령어로 확인해 보자. 더보기 kubectl get pod -o wid.. 2023. 11. 2.
[Kubenetes] k8s nodeport nodeport: node자체 포트를 개방하고 이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pod로 리다이렉션 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loadbalancer를 앞에 두고 nodeport를 구현한다. nodeport와 loadbalaner와 ingress의 차이점 nodeport는 노드의 자체 포트를 사용해서 pod로 redirection loadbalancer: 외부 게이트 웨이를 사용해서 노드포트로 redirection ingress: 외부에 별도의 리소스를 만들어주고, 이 리소스에 요청이 오면, 하나의 ip로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도메인 네임) loadbalancer는 L4개념, ingress는 L7 개념이다. L2 스위치 (Layer 2 스위치):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이더넷 스위치로도 .. 2023. 11. 1.